칼바람

"진주의료원 폐업 발표 뒤 입·퇴원 환자 22명 사망" 본문

세상 이야기

"진주의료원 폐업 발표 뒤 입·퇴원 환자 22명 사망"

카알바람 2013. 4. 30. 12:57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은 경남도가 지난 2월 26일 진주의료원 폐업 방침을 발표한 뒤 두 달 동안 22명이 사망했다고 밝혔다. 진주의료원에 입원해 있다가 사망한 환자는 13명이고, 다른 병원으로 옮기는 등 퇴원했다가 사망한 환자는 9명이다.

30일 보건의료노조는 이같이 밝히면서 "진주의료원에서 쫓겨난 환자의 재입원을 허용하고 정상 진료할 것"과 "경남도는 진주의료원 폐업방침을 철회하고 정상화에 착수할 것"을 촉구했다.

경남도의 폐업 발표 당시 진주의료원 입원 환자는 203명이었는데, 30일 현재 6명으로 줄었다. 진주의료원에서 퇴원한 지 이틀만에 사망한 환자도 있었다.

"환자 22명 사망, 홍준표 공공의료 파괴행위의 비극적인 결과"

 진주의료원.
ⓒ 윤성효

관련사진보기


보건의료노조는 "폐업결정 발표 후 환자들을 쫓아내기 위해 공무원들과 보건소 직원, 동사무소 직원까지 동원해 환자들에게 퇴원을 종용했다"며 "경남도는 환자퇴원을 강요한 적이 없다고 발뺌하고 있지만, 환자들과 가족들에게 퇴원을 종용한 전화와 문자 메시지, 환자가족들의 증언과 같은 증거들이 분명히 있다"고 밝혔다.

이어 "경남도는 진주의료원 해산 조례안 통과라는 법적 폐업절차가 완성되기도 전에 폐업을 발표해놓고 모든 수단·방법을 동원하여 폐업을 강행하면서 환자들이 남아있는데도 휴업조치를 내리고, 의사들을 해고했다"며 "의사들을 다 내보낸 뒤에도 환자들이 남아 있자 어쩔 수 없이 공보의와 경상대병원 의사를 파견받아 진료하는 파행운영을 이어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보건의료노조는 "퇴원 강요행위로 인한 극심한 스트레스와 불안, 안정이 필요한 환자에게 닥친 급작스런 환경변화, 전원해서는 안될 환자를 무리하게 전원함으로써 발생한 건강악화, 의료진 공백과 의료원 파행운영으로 인한 진료 차질, 진주의료원에서 받던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 단절 등이 환자들의 죽음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22명 사망과 관련해, 보건의료노조는 "홍준표 지사의 공공의료 파괴행위가 얼마나 비극적인 결과를 가져오는지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며 "환자들의 목숨을 담보로 자신의 정치적 목적달성을 위해 폐업을 몰아붙이는 이 반의료적·반인륜적 행위는 즉각 중단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경남도에 대해, 보건의료노조는 "진주의료원 입원환자들에 대한 퇴원 종용행위를 중단하고 정상진료를 보장할 것"과 "진주의료원에서 쫓겨난 환자들의 진주의료원 재입원을 허용하고, 정상진료를 보장할 것"을 촉구했다.

또 보건의료노조는 "보건복지부는 진주의료원에서 쫓겨난 환자들이 어떤 상태에 있는지 실태를 파악하고, 이들에 대한 적정진료 대책을 수립할 것"과 "경남도는 대한민국 국민을 대표하는 국회의 결의안 채택을 겸허하게 수용하여, 하루빨리 진주의료원을 정상화하기 위한 청사진을 제시할 것"을 요구했다.

환자들의 사망에 대해, 경남도는 "환자들의 죽음과 진주의료원 폐업은 무관하다"고 밝히고 있다.

"진주의료원 관리운영 부실을 철저하게 감사하라"

경남도는 30일부터 5월 10일까지 진주의료원에 대한 종합감사를 실시한다. 이번 감사에는 경남도청 공무원과 전문가들이 참여한다.

이번 감사에 대해, 보건의료노조는 "진주의료원 관리운영 부실을 철저하게 감사하라"며 "노조에서 제기하는 각종 의혹에 대해 철저하게 감사하고, 진주의료원 정상화의 기틀을 마련하는 감사가 되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보건의료노조는 "이번에 실시하는 진주의료원에 대한 경상남도의 감사는 진주의료원 파행운영과 관리부실을 분명하게 밝혀내는 감사가 되어야 하며, 진주의료원 경영악화의 실체적 원인을 밝혀내고 진주의료원 정상화의 기틀을 마련하는 감사가 되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