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바람

사설에 ‘남쪽 정부’ 쓴 조선일보, 이정희에 ‘종북본색’ 맹비난 본문

세상 이야기

사설에 ‘남쪽 정부’ 쓴 조선일보, 이정희에 ‘종북본색’ 맹비난

카알바람 2012. 12. 7. 17:00

사설에 ‘남쪽 정부’ 쓴 조선일보, 이정희에 ‘종북본색’ 맹비난

지면 총동원에 사실도 왜곡, “박근혜 대신 화풀이하나”

정혜규 기자

입력 2012-12-06 22:13:19 l 수정 2012-12-07 00:24:38

 

지난 4일 대선 후보 간 첫 방송토론에서 진보당 이정희 대선후보가 새누리당 박근혜 대선후보에게 맹공을 가한 것을 두고 새누리당과 보수언론의 비난이 도를 넘고 있다. 보수언론은 한결같이 ‘(지지율)0.2% 후보가 난장판을 만들었다’고 보도하고 있으나, 보도량이나 비중에서 ‘0.2% 후보’를 당선유력 후보급으로 ‘대우’하는 것은 오히려 보수언론이라는 조소까지 나오고 있다.

방송토론 다음 날인 5일에 이어 6일에도 보수언론은 이정희 후보의 토론자세와 내용을 주제로 비난 기사를 이어갔다. 또 칼럼과 사설, 심지어 가십란까지 가용수단을 총동원해 ‘이정희 죽이기’에 집중하고 있다.

보수언론의 토론회 평가는 차분한 분석과는 거리가 멀 뿐만 아니라 인터넷과 SNS 등에 열광적인 지지를 표시한 젊은층과 진보·개혁적 유권자들의 반응은 외면한 채 부정적 평가만 반영하고 있다. 또 이 후보만 심층분석할 뿐 박 후보와 민주당 문재인 대선후보는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뤄 ‘역차별’ 행태까지 보이고 있다.

지난해 광복절 경축식에서 애국가를 부르는 이정희 당시 민주노동당 대표

지난해 광복절 경축식에서 애국가를 부르는 이정희 당시 민주노동당 대표



‘허위사실’ 흥분.. 정작 박근혜, ‘시인하거나 침묵’

보수언론이 이정희 후보 공격에 활용하는 이슈는 △질문이나 답변에서 허위사실을 말했다 △종북적인 표현을 썼다 △박근혜 후보에게 예의를 지키지 않았다 등이다.

우선 이 후보에 대해 정작 질문을 받은 박 후보는 토론 현장에서 아무런 문제제기를 하지 않고 토론에 임했다. 이 후보의 핵심 비판이었던 ‘박정희 전 대통령의 일제 충성혈서와 창씨개명’ ‘전두환 전 대통령으로부터 6억원 수수’ 등에 박 후보는 스스로 시인하거나 반론을 하지 않았다. 새누리당이 국회에서 유통법 통과를 가로막고 있다는 것은 사실 이 후보의 의견이라기보다 중소상공인과 시민단체의 주장이다. 상인단체는 최근에는 물론 방송토론 후에도 박 후보 캠프 앞에서 기자회견 등을 열며 새누리당의 유통법 개정안 반대를 비판한 바 있다.

이 후보의 답변 가운데 ‘허위 답변’이라고 가장 공격을 받고 있는 것은 ‘애국가 제창’이다.

박 후보는 토론회에서 이 후보에게 “국가행사에 자주 참석해야 하는데 그때도 국민의례를 거부할 것이냐”를 물었고 이 후보는 “당 대표로서 국가행사에서 공식의례를 다함께 했고 텔레비전으로 방송도 됐다”고 반박했다. 현재 페이스북과 트위터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는 이 후보가 지난해 광복절 경축식에 참석해 애국가를 부르는 TV 실황중계 장면이 급속히 퍼지고 있다.

박 후보는 ‘진보당 소속 의원 가운데 애국가를 거부하는 의원이 있다’고 주장을 바꿨으나 이 역시 대상자로 지목당한 이석기·김재연 의원이 지난 7월 3일 열린 국회 개원식에서 애국가를 부르고 있는 사진이 당시 주요 일간지 1면에 일제히 보도된 사실이 확인됐다.

‘남쪽 정부’.. 조선일보 사설은 괜찮고, 이정희는 종북본색?

이 후보가 발언 도중 ‘남쪽 정부’라고 했다 ‘우리 대한민국 정부’라고 고친 것을 두고도 ‘종북 공세’가 한창이다. 그러나 남과 북을 말할 때 상대적 개념으로 남쪽, 북쪽으로 지칭하는 일은 언론보도나 일상생활에서 흔하다.

2일자 3면에서 네티즌의 입을 빌어 ‘종북 본색’ ‘북으로 가라’고 원색적으로 비난한 <조선일보>는 지난해 6월 사설에서 ‘남쪽 정부’라고 세 차례나 반복했다. 일반적으로 사설은 신문사에서 가장 권위있고 ‘표현’이 중시되는 부분이다.

이 후보를 겨냥한 이런 시비는 ‘종북 프레임’을 덧씌우려는 의도가 노골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이는 여야 박빙의 승부에서 문재인, 이정희 후보가 공조하는 상황을 우려하는 새누리당의 ‘사전 폭격’ 성격이 짙다는 것이 야권의 분석이다.

'남쪽 정부'라고 세번 지칭한 지난해 6월 2일자 조선일보의 사설

'남쪽 정부'라고 세번 지칭한 지난해 6월 2일자 조선일보의 사설



새누리당과 보수언론이 또 하나 강하게 성토하고 있는 것은 이 후보의 ‘태도’이다. ‘막말’ ‘난장판’ 등 정당의 논평이나 언론보도에서 보기 쉽지 않은 표현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그러나 역시 토론 당사자인 박 후보는 정작 아무 지적도 하지 않아 ‘뒷북 대응’이라는 비판을 사고 있다. 이는 박 후보가 부산저축은행 문제를 거론했을 때 문 후보가 “이미 허위사실로 드러난 문제를 후보가 직접 거론해 안타깝다”고 지적한 것과 대비된다. 즉 박 후보가 이 후보의 태도에 불쾌감을 느끼지 못했거나 반박할 만한 내용이 마땅치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뒤늦은 토론방식 ‘화풀이’, 제 꾀에 넘어갔다

이날 토론방식은 세 후보 간의 상호토론이 거의 배제됐다. 서로 꼬리잡기 식으로 돌아가는 순서와 촘촘한 시간 제한은 후보자 간의 반론과 재반론을 기대한 유권자들의 기대를 무너뜨렸다. 이 때문에 ‘선관위가 토론에 약한 박 후보를 위해 토론규칙을 짰다’는 비판이 민주당, 진보당, 네티즌들에서 토론 전부터 쏟아졌다.

그러나 토론 당일 이 후보는 토론규칙을 충분히 활용하며 박 후보를 시종일관 코너로 몰아붙였다. 이 후보는 ‘삼성장학생’과 ‘의원 촌지’ 등을 제외하고는 문 후보와는 긴장을 높이지 않은 채 화력을 박 후보에게 집중했고 질문과 상관없이 부족한 반론을 펴기도 했다. 박 후보는 당황한 듯 반론의 기회조차 충분히 활용하지 못했다.

토론회가 끝나자 새누리당은 일제히 선거법에 규정된 참가 자격까지 문제 삼으며 2차, 3차 토론에서 이 후보를 배제해야 한다는 무리한 주장을 폈다. 그러나 이는 ‘원칙, 법치, 신뢰’를 주장하는 박 후보의 이미지와도 어울리지 않는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또 당초 민주당의 집요한 양자토론 요구를 거부하던 새누리당이 뒤늦게 이 후보를 배제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선 것 역시 자기부정이다. 이정희 후보 선대위의 김미희 대변인은 <민중의소리>와의 전화통화에서 “법에 참가가 보장된 토론에 참가시키지 말라고 선관위를 압박하는 것이야말로 제왕적이고 초법적인 행태”라며 “선관위를 압박해 토론 세부규칙을 유리하게 바꾸려 한다면 국민들에게 ‘꼼수’로 지탄받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경기 도중에 규칙을 바꿀 수 없다는 것은 박 후보의 일관된 지론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2차 토론의 주제인 경제와 노동 등은 국회 기획재정위 활동과 통상법 연구로 실력이 다져진 이 후보의 ‘전공’이어서 또 한번 박 후보의 고전이 예상된다. 10일 열리는 2차 토론을 앞두고 보수언론과 새누리당의 ‘히스테리’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