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가 다음달 4일 출범 100일을 앞두고도 ‘쌍용차 국정조사 실시’ 공약을 지키지 않는 가운데 쌍용차 범국민대책위와의 대화도 사실상 거부할 조짐이라 노동계, 시민사회단체와의 갈등이 예상된다.
쌍용차 해고자를 비롯해 범국민대책위는 24일 오후 7시부터 쌍용차 국정조사 실시, 박근혜 대통령 면담을 촉구하며 1박 2일 청와대 앞 노숙농성에 돌입한다. 민주노총, 범대위 등은 지난 16일 5월20~25일 사이 정부가 쌍용차 사태 해결을 위해 면담에 나서야 한다고 요구했지만 현재까지 답변이 없는 상황이다.
김정우 쌍용차지부장은 “박근혜 정부는 면담 요구에 아무 답변이 없는 등 사태 해결 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다”며 “대통령이 쌍용차 사태 해결에 나서지 않고 콧방귀만 뀌고 있으니 대정부 투쟁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서울 대한문 분향소를 유지하면서 대정부 투쟁을 병행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고 덧붙였다.
![]() |
[출처: 참세상 자료사진] |
쌍용차 범대위 역시 5~6월 강력한 투쟁을 예고했다. 민주노총, 범대위 등은 청와대 앞 1인 시위를 비롯해 5월24~25일, 6월17~21일 청와대 앞 노숙농성, 5월30~6월 1일 청와대·광화문광장 농성, 5월27일 광화문광장 제 단체 투쟁선포 기자회견, 6월4~5일 민주노총 집중집회, 6월22일 범국민대회를 사실상 확정했다. 또한 6월10~14일 쌍용차 평택공장 집중 선전전, 15일 쌍용차 평택공장 앞 집회를 열 계획이다.
김태연 범대위 상황실장은 “6월 임시국회에 쌍용차 국정조사를 제기해야 한다”며 “5~6월은 쌍용차 사태 해결의 향방을 가늠하는 중요한 시기로, 숨 가쁜 투쟁을 전개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노동계, 종교계, 문화예술계, 법조계, 학계, 시민사회단체 등 광범위하게 구성된 쌍용차 범대위는 22일 ‘쌍용차 문제의 조속한 해결을 위한 대토론회’를 열고 향후 투쟁 방향을 모색하기도 했다. 참가자들 역시 박근혜 정부를 상대로 한 싸움이 불가피 하다고 의견을 모았다.
이태호 참여연대 사무처장은 “쌍용차 정리해고로 인한 희생자 중 23, 24번째 죽음은 대선을 전후로 정치권이 이 문제를 정치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가운데 발생한 일로, 정부와 정치권은 이들 죽음에 대한 책임을 통감해야 한다”며 “박 대통령이 약속한 ‘100% 대한민국’은 쌍용차 문제 해결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봉희 민주노총 부위원장은 “대한문 분향소 재건에서 머물지 않고 주요 투쟁방향을 쌍용차 국정조사 실시와 해고자 복직으로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투쟁으로 집중해야 한다”며 “쌍용차 투쟁을 통해 정리해고제 철폐, 외국자본에 대한 통제의 제도화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진보신당은 23일 쌍용차 국정조사 실시를 약속한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 지난 대선 당시 총괄선대본부장이었던 김무성 의원 등 8명의 의원에게 질의 공문을 넣고 오는 31일까지 답변하라고 요구했다. 쌍용차 국정조사 약속 확인 및 추진 의지 여부와 시기 등이 담겼다.